KOTRA [KOTRA] [해외시장뉴스] 인도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(Aero India 2021) 참관기 (210216)
-
사르나트
- 57
- 0
인도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(Aero India 2021) 참관기
2021-02-16 인도 벵갈루루무역관 조주연
- 세계 최초 하이브리드 에어쇼 ‘에어로 인디아’ 개최 -
- 인도기업과의 합작투자를 통한 현지시장 및 제3국 시장 진출 기대 -
인도 방산시장 현황
2019년 전세계 국방비 지출 규모는 전년보다 3.6% 증가한 1조 9,170억 달러로 추정되며, 이는 1988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이다. 나라별로는 미국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였고, 중국, 인도, 러시아, 사우디아라비아 순이었다. 그 중 3위를 차지한 인도는 2018년 대비 6.8% 증가한 711억 달러를 국방비로 지출하였다.
무기 수입은 사우디아라비아, 인도, 이집트, 호주, 중국이 전세계의 36%를 차지한다. 세계 2위인 인도는 장기간 지속되고 있는 파키스탄(카슈미르 지역)과의 분쟁에도 불구하고, 2015-2019년 무기수입이 2010-2014년 대비 32%가 감소한 134억 달러를 지출했다. 무기체계 현대화를 목표로 러시아, 이스라엘, 프랑스 등에서 방산무기를 수입하고 있으며, 그 중 항공장비 거래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, 함정, 미사일이 그 뒤를 이었다.
인도의 주요 방산품목 수입현황
(단위 : 백만 달러)
품목명 (HS Code) |
2017-2018 |
2018-2019 |
2019-2020 |
헬기‧항공기 (8802) |
6,456.3 |
7,137.6 |
9,100.5 |
군함‧구명정 (8906) |
69.1 |
277.0 |
736.6 |
포탄류 (9306) |
26.5 |
50.5 |
41.2 |
주 : 인도의 회계연도는 당해 4월 1일부터 다음해 3월 31일까지임.
자료 : 인도 상무부
인도의 주요 방산품목별 최대 수입국 및 비중
품목명 (HS Code) |
2017-2018 |
2018-2019 |
2019-2020 |
헬기‧항공기 (8802) |
프랑스 / 48% |
프랑스 / 46% |
쿠웨이트 / 32% |
군함‧구명정 (8906) |
중국 / 92% |
남아프리카 / 65% |
러시아 / 46% |
포탄류 (9306) |
남아프리카 / 68% |
남아프리카 / 82% |
이스라엘 / 43% |
자료 : 인도 상무부
Aero India 2021 개요
아시아 최대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인 에어로 인디아(Aero India)가 지난 2월 3일부터 5일까지 총 3일간 인도 벵갈루루의 옐라항카(Yelahanka) 공군 기지에서 진행되었다. 코로나19 팬데믹이 지속됨에 따라 2019년에 비해 해외 참가자가 감소하였지만, 정부부처, 정부기관,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분야 제조업체, 유통업체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참가하여 많은 관심을 보였다. 글로벌 항공기업 보잉(Boeing), 록히드 마틴(Lockheed Martin), 다쏘(Dassault), 에어버스(Airbus) 외에도 탈레스(Thales), BAE 시스템즈(BAE Systems) 등 방산기업들이 참여했다.
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참가자들은 1월 31일 이후 진행한 PCR 테스트 음성 확인서를 필수로 제출해야만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었다. 또한 올해는 코로나로 인해 행사에 직접 참석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세계 최초로 하이브리드 전시 방식을 도입하였다. 가상 전시회(Virtual exhibition), 온라인 세미나 및 상담회를 통해 관심 제품에 대한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었다.
행사 개요
행사명 |
Aero India 2021 (제 13회 에어로 인디아) |
기간 |
2021년 2월 3일-5일 |
장소 |
Air Force Station, Yelahanka, Bengaluru, Karnataka |
규모 |
602개사(인도 524개사, 미국·프랑스 등 해외 78개사) |
분야 |
항공우주, 방위산업 |
주관 |
Defence Exhibition Organisation |
자료 : Aero India 2021 홈페이지(https://aeroindia.gov.in/)
주요 사진
|
|
|
|
|
|
|
|
자료 : KOTRA 벵갈루루무역관 촬영
Aero India 2021 참가기업 인터뷰
올해는 코로나19 영향으로 한국관은 구성되지 않았다. KOTRA 벵갈루루무역관은 전시회 참가 현지 기업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였고, 내용은 아래와 같다.
연번 |
기업명 |
담당자 |
인터뷰 내용 |
1 |
A사 |
Vivek Pandey, GM Business Development |
- 방산 엔지니어링, AI, IT, 인프라 분야 전문기업임. - 관심 품목은 휴대용 스캐너와 드론 등임. - 비즈니스 개발을 위해 한국 기업과의 협력을 희망하고 있음. |
2 |
B사 |
Avinash Kumar, Deputy General Manager – Marketing |
- 항공우주, 자동차, 헬스케어 분야 제조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임. - 관심 품목 및 기술은 디퓨저(Diffuser), 3D 프린팅 기술, 기타 디자인 서비스임. - 한국기업과의 협업 및 합작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. |
3 |
C사 |
Pradeep Kumar H.G, Manager – Global |
- 변압기, 인덕터(Inductor), 필터 등을 제조하는 기업임. - 항공우주, 방위산업, 전력, 자동차 분야의 한국 기업들과 협력하기를 희망하고 있음. - 제조 공정에 필요한 변압기, 배선(Wiring Harnesses) 등 구입을 희망하고 있음. |
4 |
D사 |
Harikumar R.S, Deputy General Manager |
- 방위 장비, 시스템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기업임. - 방산 분야에서 한국기업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찾고 있음. |
자료 : KOTRA 벵갈루루무역관 인터뷰
시사점
인도 ‘국방획득절차 2016(Procurement Procedures 2016)’에 따르면 ‘인도 내에서 설계, 개발, 제조된 제품을 구매하는 것(Buy Indigenously Designed, Developed and Manufactured; IDDM)’이 최우선시 된다. 또한 모디 총리는 ‘Make in India’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하고 있으며, 군사 장비의 자국 생산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해외 방산기업에 기회가 제한될 수 있다. 그러나 민간부문 참여가 활성화되면서 민간 주도 첨단기술 개발을 위한 해외기술 이전을 통해 해외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는 기회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.
또한 인도 산업통상부(DPIIT)는 방산 부문 해외직접투자(FDI) 자동 승인 허용 비율을 기존 49%에서 최대 74%로 확대하는 등 규제 완화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은 인도 기업과의 합작투자를 통해 현지 시장 및 제 3국 시장 진출을 기대해볼 수 있다.
자료 : 인도 상무부, Aero India 2021 홈페이지, 현지 언론, 국방기술품질원, KIET, KOTRA 벵갈루루무역관 자료 종합
< 저작권자 ⓒ KOTRA & KOTRA 해외시장뉴스 >
KOTRA의 저작물인 (인도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(Aero India 2021) 참관기)의 경우 ‘공공누리 제4 유형: 출처표시+상업적 이용금지+변경금지’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 다만, 사진,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.
KORINDIA
KORINDIA
사르나트
안녕하세요.
게시판 관리자인 사르나트입니다.
사이트 관리와 인도 뉴스 포스팅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